logo

[머신러닝] 서포트 벡터 머신

 

서론: SVM이란 무엇인가?

SVM의 정의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은 분류(Classification), 회귀(Regression), 이상치 탐지(Outlier Detection) 등 다양한 머신러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도학습 모델입니다. SVM의 기본 원리는 데이터를 고차원 공간으로 매핑하고, 이 공간에서 분류를 위한 최적의 결정 경계(Decision Boundary)를 찾는 것입니다. 이 결정 경계는 가장 가까운 훈련 데이터 샘플(서포트 벡터)와의 거리(마진)가 최대가 되도록 선택됩니다. SVM은 선형 분류 뿐만 아니라 커널 트릭(Kernel Trick)을 사용하여 비선형 분류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SVM의 역사와 발전

SVM은 1960년대에 Vladimir Vapnik과 Alexey Chervonenkis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초기에는 패턴 인식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1990년대에 이르러 재조명되며, 특히 분류 문제에 있어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고차원 공간에서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분리할 수 있는 능력, 과적합(Overfitting)에 강하다는 점, 그리고 커널 트릭을 통해 비선형 문제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짐으로써 SVM의 활용 범위가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SVM의 중요성과 활용 분야

SVM은 높은 분류 성능과 범용성 덕분에 머신러닝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차원 데이터에서의 성능이 좋고, 모델의 복잡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매개변수가 있어 다양한 데이터 세트에 적용 가능합니다. 이는 생물정보학에서 유전자 표현 분류, 금융에서 신용 평가 및 주가 예측, 컴퓨터 비전에서 이미지 분류 및 얼굴 인식, 자연어 처리에서 감성 분석 및 텍스트 분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SVM을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SVM의 활용 예는 매우 광범위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새로운 분야에 대한 적용 사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딥러닝과의 결합을 통해 더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다루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SVM은 머신러닝을 포함한 데이터 과학 전반에 걸쳐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서포트 벡터 머신(SVM)의 기본 원리

서포트 벡터 머신(SVM)은 벡터 공간에서 데이터 항목들을 분류하는 강력한 기계 학습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특히 두 개의 클래스가 있는 분류 문제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이 섹션에서는 SVM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기본 원리를 다룹니다.

 

선형 SVM: 최적의 결정 경계 찾기

선형 SVM은 주어진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정 경계(선, 평면, 혹은 초평면)를 찾는 모델입니다. 이 결정 경계는 두 클래스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최대 마진(margin)을 가지는 경계를 찾는 것이 목표입니다. 마진은 결정 경계와 가장 가까운 훈련 데이터 포인트(서포트 벡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마진을 최대화함으로써, 모델의 일반화 능력이 향상됩니다.

결정 경계는 다음 형식의 선형 방정식으로 표현됩니다:

wTx+b=0 w^Tx + b = 0

여기서 ww는 가중치 벡터, xx는 특성 벡터, bb는 바이어스입니다. 결정 경계는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모든 포인트들의 집합입니다.

 

비선형 SVM과 커널 트릭

많은 실제 문제에서 데이터는 선형으로 분리될 수 없습니다. 비선형 SVM은 이러한 비선형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널 트릭을 사용합니다. 커널 트릭은 고차원 공간에서의 선형 분리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원래의 비선형 문제를 고차원 공간에서의 선형 문제로 변환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커널 함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선형 커널: 선형 분류 문제에 사용됩니다.
  • 다항식 커널: 고차원 공간에서의 비선형 분류에 사용됩니다.
  • RBF(방사기저함수) 커널: 다양한 모양의 결정 경계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커널 중 하나입니다.

커널 트릭은 고차원으로의 데이터 매핑을 직접 계산하지 않고도 커널 함수를 통해 고차원에서의 내적을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RBF 커널은 두 데이터 포인트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합니다.

 

파이썬에서의 SVM 예시

from sklearn.svm import SVC
from sklearn.datasets import make_blobs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두 개의 클래스를 가진 데이터셋 생성
X, y = make_blobs(n_samples=40, centers=2, random_state=6)

# SVM 모델 생성 및 훈련
clf = SVC(kernel='linear', C=1000)
clf.fit(X, y)

# 데이터 포인트와 결정 경계 시각화
plt.scatter(X[:, 0], X[:, 1], c=y, s=30, cmap=plt.cm.Paired)

# 결정 경계
ax = plt.gca()
xlim = ax.get_xlim()
ylim = ax.get_ylim()

# 결정 경계와 마진을 시각화하기 위한 그리드 생성
xx, yy = np.meshgrid(np.linspace(xlim[0], xlim[1], 50),
                     np.linspace(ylim[0], ylim[1], 50))
Z = clf.decision_function(np.c_[xx.ravel(), yy.ravel()])
Z = Z.reshape(xx.shape)

# 결정 경계와 마진 그리기
ax.contour(xx, yy, Z, colors='k', levels=[-1, 0, 1], alpha=0.5,
           linestyles=['--', '-', '--'])

# 서포트 벡터 표시
ax.scatter(clf.support_vectors_[:, 0], clf.support_vectors_[:, 1], s=100,
           linewidth=1, facecolors='none', edgecolors='k')
plt.show()

이 예시에서, 선형 SVM 모델을 사용해 두 클래스의 데이터 포인트를 선형적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결정 경계와 그 주변의 마진, 그리고 서포트 벡터를 시각화하고 있습니다. 비선형 문제의 경우, SVC 생성자에 다른 커널(예: kernel='rbf')을 지정하여 비선형 분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SVM 모델 훈련 방법

 

1. SVM 모델 구성 요소 설정

서포트 벡터 머신(SVM)을 효과적으로 훈련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모델 구성 요소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에는 주로 C 매개변수커널의 종류가 포함됩니다.

C 매개변수:

  • C는 SVM의 정규화 매개변수로, 각 포인트의 분류 오류에 대한 패널티를 결정합니다. C 값이 크면 분류 오류를 줄이는 것을 더 중요시 하지만, 이는 모델이 과적합(overfitting)될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C 값이 작으면 모델이 너무 단순해져 과소적합(underfitting)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C 값의 선택은 교차 검증을 통해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커널의 종류:

  • SVM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커널 트릭(kernel trick)을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고차원 공간으로 매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커널에는 선형(linear), 다항식(polynomial), RBF(Radial Basis Function) 등이 있습니다. 각 커널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어떤 커널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것은 데이터에 대한 사전 지식과 실험을 통해 결정할 수 있습니다.
 

2. 스케일링의 중요성과 데이터 전처리 방법

  • SVM은 특성의 스케일에 민감하기 때문에, 모델 훈련 전에 데이터의 모든 특성을 비슷한 스케일로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성 스케일링 없이는 모델이 특정 특성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최적의 결정 경계를 찾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전처리 방법으로는 표준화(각 특성의 평균을 0, 분산을 1로 조정) 또는 정규화(모든 특성 값을 0과 1 사이로 조정)가 있습니다.
 

3. SVM을 위한 최적화 문제와 솔버 선택 기준

  • SVM 모델을 훈련시키는 것은 본질적으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같습니다. 여기서 목표는 마진(margin)을 최대화하면서, 동시에 분류 오류를 최소화하는 결정 경계를 찾는 것입니다.
  • 대부분의 SVM 구현은 이 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해 순차 최소 최적화(Sequential Minimal Optimization, SMO) 또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SMO는 대규모 최적화 문제를 작은 하위 문제로 나누어 해결하는 알고리즘으로, 각 단계에서 적절하게 선택된 한 쌍의 알파(alpha)를 최적화합니다.
  • 솔버 선택은 주로 문제의 크기와 복잡성, 사용 가능한 컴퓨터 자원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규모 데이터셋 또는 복잡한 커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산 효율성이 높은 솔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코드: 선형 SVM 훈련

from sklearn.svm import SVC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from sklearn.pipeline import make_pipeline
from sklearn.datasets import make_classification

# 도구 데이터 생성
X, y = make_classification(n_samples=1000, n_features=20, random_state=42)

# 데이터 표준화 및 선형 SVM 모델 피팅
svm_model = make_pipeline(StandardScaler(), SVC(kernel='linear', C=1))
svm_model.fit(X, y)

# 모델 평가 (자리표시자 코드)
# print(svm_model.score(X_test, y_test))

이 코드는 선형 커널을 사용하여 SVM 모델을 훈련하고,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실제 응용에서는 C 매개변수와 커널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고, 다양한 데이터 전처리와 모델 평가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SVM의 응용

서포트 벡터 머신(SVM)은 머신러닝의 가장 강력하고 다재다능한 알고리즘 중 하나입니다. 주로 분류, 회귀, 그리고 이상치 탐지와 같은 다양한 머신러닝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SVM의 주요 응용 분야와 관련된 실용적인 예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분류 작업에서의 SVM 활용 예시

분류는 SVM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영역입니다. 특히, 이진 분류 문제에서 SVM의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이 스팸인지 아닌지를 분류하거나, 온라인 거래가 사기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데 SV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VM은 고차원 공간에서도 잘 작동하며, 데이터 포인트 사이의 최적의 경계를 찾아내는 능력 때문에 작은 데이터셋에서도 비교적 좋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예시 코드 (Python을 사용한 간단한 SVM 분류기):

from sklearn.svm import SVC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iris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metrics import accuracy_score

# Iris 데이터셋 로드 및 분할
X, y = load_iris(return_X_y=True)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 y, test_size=0.2, random_state=42)

# SVM 분류기 학습
svm_clf = SVC(kernel='linear')
svm_clf.fit(X_train, y_train)

# 예측 및 성능 평가
predictions = svm_clf.predict(X_test)
print("Accuracy:", accuracy_score(y_test, predictions))
 

회귀 (SVR) 및 이상치 탐지에서의 SVM 활용

SVM은 회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VR(Support Vector Regression)로도 확장됩니다. SVR은 분류 문제에 사용되는 SVM의 원리를 회귀 문제에 적용한 것입니다. SVR은 주어진 데이터 포인트에서 최대 마진 안에 가능한 많은 데이터 포인트를 포함하도록 하는 회귀선(또는 곡선)을 찾습니다.

또한, SVM은 이상치 탐지에도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상치 탐지를 위해 학습되는 SVM은 데이터셋 내에서 정상 데이터 포인트들을 하나의 클래스로 간주하고 그 밖에 있는 데이터 포인트들(즉, 이상치)을 다른 클래스로 간주합니다.

 

멀티 클래스 분류를 위한 SVM 전략

멀티 클래스 분류 문제에 대해서는, SVM이 기본적으로 이진 분류기이므로, 일대다(OvR, One-vs-Rest) 또는 일대일(OvO, One-vs-One) 전략을 사용해 문제를 여러 개의 이진 분류 문제로 분해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일대다 (OvR): 각 클래스를 다른 모든 클래스와 구분하도록 SVM 분류기를 훈련합니다. 예를 들어, 3개의 클래스가 있다면, 클래스 1 대 나머지, 클래스 2 대 나머지, 클래스 3 대 나머지와 같이 3개의 분류기가 필요합니다.

  • 일대일 (OvO): 가능한 모든 클래스 쌍에 대해 SVM 분류기를 훈련합니다. 예를 들어, 3개의 클래스가 있다면, 클래스 1 대 클래스 2, 클래스 1 대 클래스 3, 클래스 2 대 클래스 3과 같이 총 3개의 분류기가 필요합니다. 이 방법은 분류기의 수가 클래스의 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각 분류기의 훈련에 필요한 데이터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집니다.

SVM은 이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머신러닝 문제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고차원 데이터에서는 훈련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매개변수 선택과 모델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은 강력한 머신러닝 모델 중 하나로, 주로 분류와 회귀 문제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모든 머신러닝 모델과 마찬가지로 SVM 역시 장단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SVM의 주요 장점

  1. 복잡한 비선형 문제 해결 능력: SVM은 선형 분리가 불가능한 데이터셋에 대해서도 커널 트릭(Kernel Trick)을 사용하여 고차원 공간에서의 선형 분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비선형 문제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2. 일반화 오류가 낮음: SVM은 마진(Maximum Margin)을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모델의 일반화 오류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이는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차원의 저주에 상대적으로 강함: SVM은 특성의 수가 샘플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도 비교적 잘 작동합니다. 이것은 고차원 데이터셋에서의 모델 성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SVM의 단점

  1. 대규모 데이터셋 처리의 어려움: SVM은 훈련 시간이 샘플 수에 따라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셋에서는 훈련이 매우 느리거나 실현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2.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희소 데이터셋 처리의 비효율성: SVM은 희소한 데이터셋에서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특히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경우, 다른 모델(예: 나이브 베이즈)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 선택의 중요성과 과적합 방지 전략

  1. 매개변수의 중요성: SVM 성능은 커널 선택과 커널 매개변수(γ), 그리고 오류 허용 정도를 결정하는 C 값에 크게 의존합니다. 잘못된 매개변수 선택은 모델의 성능을 크게 저해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상당한 조정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과적합 방지 전략: 과적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CV(Cross Validation, 교차 검증)을 사용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특히 C 값이 너무 높으면 과적합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절한 값을 설정하여 모델이 훈련 데이터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예시 코드: 매개변수 조절과 교차 검증을 통한 SVM 모델 튜닝

from sklearn.svm import SVC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iris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GridSearchCV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from sklearn.pipeline import Pipeline

# 데이터 로드
iris = load_iris()
X, y = iris.data, iris.target

# 파이프라인 생성: 데이터 스케일링 + SVM 모델
pipeline = Pipeline([
    ('scaler', StandardScaler()),
    ('svm', SVC())
])

# 매개변수 그리드 설정
param_grid = {
    'svm__C': [0.1, 1, 10, 100],
    'svm__gamma': [0.001, 0.01, 0.1, 1],
    'svm__kernel': ['rbf', 'linear']
}

# 그리드 서치를 통한 최적 매개변수 찾기
grid_search = GridSearchCV(pipeline, param_grid, cv=5)
grid_search.fit(X, y)

# 최적 매개변수 출력
print(f"Best parameters: {grid_search.best_params_}")
print(f"Best cross-validation score: {grid_search.best_score_}")

이 예시 코드는 SVM의 주요 매개변수인 C, gamma, 그리고 커널 유형을 조절하면서, 교차 검증을 통해 이 매개변수들에 대한 최적의 조합을 찾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은 SVM을 포함한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에서 과적합을 방지하고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합니다.

Previous
로지스틱 회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