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딥러닝] Neural Architecture Search

Neural Architecture Search

 

Neural Architecture Search의 정의

Neural Architecture Search(NAS)는 최적의 신경망 구조를 자동으로 설계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이 과정에서, 컴퓨터 알고리즘은 주어진 작업에 대해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신경망 아키텍처(예: 레이어의 종류와 수, 각 레이어의 뉴런 수 등)를 탐색합니다. NAS는 수동으로 신경망 구조를 설계하는 대신, 다양한 구조를 실험하고 평가하여 최적의 모델 구조를 찾는 자동화된 과정입니다.

 

NAS의 역할과 중요성

딥러닝 모델의 성능은 대부분 모델의 구조에 크게 의존합니다. 그러나, 다양한 문제에 대해 가장 적합한 신경망 구조를 설계하는 것은 전문 지식을 요구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입니다. NAS는 이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높은 성능의 모델을 보다 빠르게 개발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NAS는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발견되지 않았을 수 있는 새로운 신경망 구조를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NAS의 발전 과정

NAS의 초기 연구는 주로 진화 알고리즘 또는 강화 학습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탐색했습니다. 이 방법들은 흥미로운 결과를 제시했지만, 매우 높은 계산 비용을 필요로 했습니다. 최근에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접근법이 연구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원샷 NAS(one-shot NAS) 방법론은 전체 검색 공간을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로 간주하고, 이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하위 네트워크를 샘플링하여 평가함으로써 계산 비용을 크게 줄였습니다.

 

PyTorch 예시 코드

PyTorch를 사용한 간단한 NAS 예시 코드는 특정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NAS의 구현 예시로 구체적인 코드를 제공하는 대신, PyTorch 환경에서 가능한 NAS 접근 방식을 일반적으로 언급합니다. 실제로 NAS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NAS-Bench-101, DARTS 등의 라이브러리와 같이 특정 NAS 작업에 최적화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은 PyTorch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고급 NAS 라이브러리를 탐색하는 단계의 개요입니다.

  1. 라이브러리 선택: NAS 구현을 위한 라이브러리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facebookresearch/pytorch-nas 또는 DARTS 등이 있습니다.

  2. 데이터 준비: 탐색할 신경망이 해결할 문제에 대한 데이터를 준비합니다.

  3. 탐색 공간 정의: 탐색할 네트워크의 구조(레이어 타입, 레이어 수, 연결 방식 등)에 대한 탐색 공간을 정의합니다.

  4. 탐색 알고리즘 설정: NAS를 수행할 알고리즘을 설정합니다. 이는 주로 강화 학습, 진화 알고리즘, 그래디언트 기반 방법들을 포함합니다.

  5. NAS 실행: 정의된 탐색 공간과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최적의 신경망 구조를 찾기 위해 NAS를 실행합니다.

NAS 관련 작업에 PyTorch를 사용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요구사항과 선택한 라이브러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NAS는 굉장히 복잡하고 계산 비용이 높은 작업이기 때문에, 실제 실행 전 충분한 리소스와 시간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NAS의 종류

Neural Architecture Search(NAS)는 최적의 신경망 구조를 자동으로 설계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아키텍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은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Reinforcement Learning

강화 학습 기반 NAS는 에이전트가 신경망의 구조를 선택하고, 이 선택으로 인한 성능(보상)을 기반으로 에이전트의 정책을 업데이트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유명한 예시는 Google의 AutoML 프로젝트입니다.

 

예시 코드

# PyTorch와 Reinforcement Learning 기반 NAS를 위한 간단한 예제 코드
import torch
import torch.nn as nn
import torch.optim as optim
from torch.distributions import Categorical

# 간단한 신경망 구조 예시
class Net(nn.Module):
    def __init__(self):
        super(Net, self).__init__()
        self.fc1 = nn.Linear(10, 10)  # 예시로 설정한 부분

    def forward(self, x):
        x = torch.relu(self.fc1(x))
        return x

# 에이전트 정의
class Agent(nn.Module):
    def __init__(self):
        super(Agent, self).__init__()
        self.fc = nn.Linear(10, 2)  # 두 가지 액션으로 구성된 예시

    def forward(self, x):
        x = self.fc(x)
        return Categorical(logits=x)

# NAS를 위한 에이전트의 학습 과정
def train_agent():
    agent = Agent()
    optimizer = optim.Adam(agent.parameters(), lr=1e-2)
    for _ in range(1000):  # 더미 반복 횟수
        # 임의의 입력 데이터
        data = torch.randn(1, 10)
        # 행동 선택
        action_probs = agent(data)
        action = action_probs.sample()
        # 임의의 보상
        reward = torch.rand(1)
        # 손실 계산 및 업데이트
        loss = -action_probs.log_prob(action) * reward
        optimizer.zero_grad()
        loss.backward()
        optimizer.step()

train_agent()

이 코드는 강화 학습 기반 NAS의 매우 간단한 예시입니다. 실제 상황에서는 환경 설정, 액션 공간 설계, 보상 함수 정의가 훨씬 더 복잡합니다.

 

2. Evolutionary Algorithms

진화 알고리즘 기반 NAS에서는 신경망 구조를 개체로 취급하여, 선택, 교차, 변이 등의 진화론적 연산을 통해 세대를 거듭하며 최적화를 진행합니다.

 

3. Gradient-Based Methods

경사 기반 방법론에서는 신경망의 구조를 직접 최적화할 수 있는 연속적인 공간으로 매개변수화하고, 이를 통해 경사 하강법을 적용합니다. DARTS(Differentiable Architecture Search)가 대표적입니다.

 

4. Bayesian Optimization

베이지안 최적화는 특정 신경망 구조의 성능을 모델링하고, 이 모델을 사용하여 다음에 탐색할 가장 유망한 구조를 예측합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계산 비용이 적게 들고, 적은 수의 시도로 좋은 구조를 찾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5. One-Shot Model

원샷 모델 방식에서는 전체 신경망 구조를 한 번에 학습하고, 이러한 대규모 신경망에서 부분집합을 선택하여 최적의 구조를 찾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계산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각각의 NAS 접근 방식은 구체적인 문제와 사용 가능한 컴퓨팅 자원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성능 또한 다양할 수 있습니다. 딥러닝 연구 및 응용 분야에서 NAS의 발전은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Previous
하이퍼파라미터 튜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