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데이터를 변수 안에 넣어 사용한다
음료수 변수에 10000에 넣는다.
음료수 = 10000
우측 environment창에 새롭게 생선된 음료수 변수와 변수값을 확인 할 수 있다.
= 의미
=를 사용하지만 수학에서의 의미와는 다르다.
수학에서는 =를 값의 대등의 의미로 쓰이지만, 프로그램에서는 = 우측값을 = 왼쪽 변수에 대입한다는 의미한다.
변수 음료수를 작성하고 실행하면 변수값인10000이 나온다.
음료수
10000
과자 변수에 9000에 넣었다.
과자 = 9000
과자를 실행하면 변수값인9000이 나온다.
과자
9000
에디터 창에 음료수 + 과자를 실행하면 19000이 출력된다.
음료수 + 과자
19000
음료수 + 과자 를 새로운 변수 총액에 대입한다.
총액 = 음료수 + 과자
총액을 작성하고 실행하면 음료수 + 과자의 합인 19000이 나온다.
총액
19000
콘솔창의 에러 설명
-
음료수 + 과실행시 나오는 에러Error: object '과' not found는과라는 변수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이다. -
총실행시 나오는 에러Error: object '총' not found는총이라는 변수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이다.